고혈당에서 당뇨병을 예방하기 위한 생활방법
생활 습관의 변화가 내당능이상에서 당뇨병으로의 진행을 예방 혹은 지연시킬 수 있다는 것은 꾸준히 증명되고 있습니다.
500명이 넘는 내당능이상의 중국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장기간의 식이조절과 운동치료가 내당능이상에서 당뇨병으로의 진행을 58% 감소시켜 당뇨병 발생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일주일에 150분 이상의 신체 활동을 하는 것과 비만인 환자의 경우 7%의 체중을 감소하는 것이 당뇨병 예방에 더욱 도움이 되었습니다.
내당능이상이 있는 일본 남성이 철저하게 생활 습관 교정을 하여 체질량지수를 22kg/㎡ 보다 낮추면, 일반적인 생활 습관을 가진
체질량지수가 24kg/㎡ 보다 낮은 사람들보다 4년간 당뇨병 발생률이 67.4%나 감소하였습니다.
또한 4년간 철저하게 생활 습관 교정을 시킨 후 식이 교육이나 운동 교육 없이 추후 3년간을 추적 관찰하였는데, 철저하게 생활 습관 교정을
시행했던 사람들이 여전히 당뇨병 발생 비교위험률에 있어서 43%나 낮은 위험도를 유지하였습니다.
당뇨병 발생 위험률의 감소는 체중감소, 지방 섭취의 감소, 식이 섬유 섭취의 증가, 신체 활동의 증가라는 생활 습관의 목표를 유지한 사람에게서 가장 크게 나타났습니다.
또한 생활습관 교정 치료는 수면을 0.5년 증가시키고, 실명은 39%, 말기 콩팥질환은 38%, 당뇨병에 의한 사지 절단은 35%, 뇌졸중은 9%, 관상동맥질환은 8%로 그 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식사 습관의 경우 당지수(Glycemic Index)를 고려한 식단의 조절이 필요합니다.
당지수(GI)란 빈속에 음식을 먹은 다음 30분 후의 혈당치 상승률(포도당을 100으로 한 경우)과 식품 100g 가운데 당질 함유량으로
산출한 수치입니다.
당지수(GI)가 높은 식품일수록 소화 속도가 빠르며 혈액으로 방류되는 포도당의 양도 많아서 혈당 수치는 빠르게 더 많이 높아집니다. 혈당 수치가 높아지면 이러한 현상을 통제하기 위해 과다 분비된 인슐린이 탄수화물을 지방세포형태로 근육이나 장기에 저장하여 제 기능은 하지 못하게 되며 췌장을 지치게 하고 신체의 인슐린 생성 능력을 손상시켜 당뇨병을 유발합니다.
따라서 식사할 때에는 당지수가 낮은 음식을 섭취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한편, 약물에 의한 당뇨 예방 효과를 연구한 당뇨 예방 프로그램(DPP)에 따르면, 메트포민 850mg을 하루에 2회 복용한 군에서는
당뇨병으로의 진행을 31% 감소시켰고, 또한 메트포민은 젊은 사람과 체질량지수가 높은 사람에게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게다가 1-2주의 휴약기간 후에, 메트포민은 25%의 당뇨병을 지속적으로 감소시켰으며, 메트포민이 단지 당뇨의 진단을 감추는 것이 아니라 전당뇨의 진행을 지연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습니다.
그래서 메트포민은 간에서의 포도당신생을 저하시키며 신체의 말초에서 인슐린에 의한 혈당의 분해를 증가시켜 당뇨병의 약제로 쓰이고 있습니다.
당뇨 예방 프로그램(DPP) 연구팀에서 실시한 컴퓨터 모델링은 평생 생활습관 교정을 받은 군의 63%, 메트포민으로 치료를 받은 군의
75%가 당뇨병이 발생하는 데 비해, 일반적인 생활을 하는 고혈당 환자들의 경우에는 83%가 당뇨병이 발생한다고 추정하였습니다.
이는 당뇨병으로의 진행을 생활습관 교정 치료로 11.1년, 메트포민 치료로는 3.4년 지연시킬 수 있음을 말합니다.
물론 당뇨병 예방을 위한 노력에 따르는 장기간의 건강 개선, 특히 사망률과 심혈관 질환의 감소 효과는 아직 더 입증되어야 하지만, 현재로서는 철저한 생활습관 교정 치료의 이득이 간과되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메트포민 외에, 당뇨병 예방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또 하나의 약물은 아카보스로가 있습니다. 이것은 장내에서 당질의 소화나 혈당의 흡수를 억제하는 약물입니다. 한 연구에서는 내당능장애가 있는 고혈당 환자에게 아카보스를 투여했을 때 3년 후 당뇨병으로의 진행을 25% 감소시켰다고 보고하였습니다.
그 밖에도 아카보스의 사용은 심혈관질환과 고혈압, 관상동맥 내막 중막 두께 등 49%를 감소시키는 유익한 효과를 나타낸 바 있습니다.
최근 각광받는 또 다른 약제로는 치아졸리딘다이온 계통의 약이 있는데, 이 약제들은 혈당을 분해하는 인슐린을 생산하는, 췌장의 세포 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 계열의 한 약제는 공복 혈당 장애나 내당능 장애를 갖고 있는 고혈당 환자들이 정상 혈당으로 돌아가는 것을 돕고, 3년간 당뇨병 발생률을 60%까지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이 약제는 심혈관 질환이 생길 위험성 등이 일부 보고되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당뇨병을 진단받지는 않았더라도 고혈당이 보이는 환자에 있어서 철저한 생활 습관 교정과 적절한 당뇨병 예방 약제의 선택이 당뇨병 발생의 지연이나 예방을 가능하게 한다는 데에는 논란의 여지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