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적 한계에 대한 고지) 본 정보는 건강정보에 대한 소비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참고자료일 뿐이며 개별 환자의 증상과 질병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의사의 진료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작성일 : 12-11-10 13:11
고혈당 : 고혈당을 방치하면 어떻게 될까요?
글쓴이 :
비타민북
조회 : 4,163
고혈당을 방치하면 어떻게 될까요?
당뇨병으로의 진행 위험은 공복혈당장애(Impaired Fasting Glucose)나 내당능장애(Impaired Glucose Tolerance) 둘 중 하나를 가지고 있는 환자와 비교해서 두 가지 모두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서 더 크게 나타납니다.
당뇨병으로의 진행 위험에는 나이, 가족력, 과체중/비만, 임신성 당뇨의 과거력, 다낭성 난소 증후군과 같은 다른 위험 인자들뿐만 아니라 인슐린 저항성의 정도와 인슐린 분비 부족이 영향을 미칩니다.
정상 혈당인 사람이 당뇨병에 걸릴 위험은 1년에 약 0.7%이지만, 공복혈당장애나 내당능장애가 있는 사람은 5-10%로 높습니다.
공복혈당이 상승된 공복혈당장애가 있는 사람들 중 11%가 매년 당뇨병으로 진행했다는 연구 보고도 있습니다.
공복혈당장애나 내당능장애가 하나 혹은 둘 다 있는 사람의 대부분의 경우 치료를 받지 않으면 제2형 당뇨병에 걸릴 수 있다는 것니다.
또한 당뇨 전 단계에 해당할 수 있는 고혈당 상태의 방치는 협심증, 심근경색 등의 심혈관 질환, 뇌졸중 등의 큰 혈관질환이나 시력에 문제를 일으키는 망막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최근 38개의 전향적 연구를 종합 분석한 결과, 당뇨병으로 진단받지 않은 경우도 당부하 후의 혈당 수치가 심혈관 질병의 위험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