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적 한계에 대한 고지) 본 정보는 건강정보에 대한 소비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참고자료일 뿐이며 개별 환자의 증상과 질병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의사의 진료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작성일 : 12-11-10 13:12
고혈당 : 진단
글쓴이 :
비타민북
조회 : 4,148
진단
1. 진단 기준
미국당뇨병학회(ADA)의 정의에 따르면, 공복혈당이 100mg/dl(5.6mmol/liter)이상이지만 126mg/dl(7.0mmol/liter)는 넘지 않는 상태를 공복혈당장애(Impaired Fasting Glucose)라고 합니다.
또한 75g 경구당부하 검사 시 식사를 하고 2시간 후 혈당이 140mg/dl(7.8mmol/liter) 이상이지만 200mg/dl(11.1mmol/liter)를 넘지 않는 상태를 내당능장애(Impaired Glucose Tolerance)로 정의합니다.
세계 건강 기구(WHO)는 공복혈당장애를 미국당뇨병학회와 유사하게 정의하고 있지만, 다른 것은 최소 공복혈당을 110mg/dl 이상으로 정의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2. 고혈당
당뇨병으로 진단받지 않은 고혈당인 사람들 중 상당수는 당뇨병이 숨겨져 있거나 현재까지, 몇 년 안에 당뇨병을 진단받게 되기도 합니다. 공복혈당(FPG) 공복혈당(Fasting Plasma Glucose)만으로는 제2형 당뇨병의 발견을 약 30% 놓칠 수 있다고 보고됩니다. 또한 란코베르나도(Rancho Bernardo) 코호트 연구 등의 결과에 따르면, 일차 검진에서 당뇨병이 아니라고 진단받은 50-89세 사이 여성의 70%와 남성의 48%가 식후 2시간 혈당 기준으로 당뇨병으로 진단되었습니다.
또 다른 연구에 따르면, 새로 진단된 당뇨병의 87%가 경구 당부하 검사에서 2시간 혈당의 상승으로 진단되었는데 대조적으로 34%만이 공복혈당의 상승으로 진단되었다고 분석하였습니다. 따라서 공복혈당수치로는 당뇨병의 진단 기준에 들지 않더라도, 일단 고혈당이 발견되면 주의를 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