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 / 치료 정보


추천 건강식품몰 스폰서 광고

오메가3
유산균/프로바이오틱스
프로폴리스/로얄젤리
비타민
종합비타민
엽산
미네랄/칼슘,아연
홍삼/산삼/인삼
감마리놀렌산/달맞이꽃종자유
글루코사민/MSM
루테인/시력보호
쏘팔메토/톱야자
아마씨유/플랙시드오일
스피루리나
코엔자임큐텐/코큐텐
키토산
밀크시슬
상어연골
징코빌로바/은행잎
다이어트
공진환, 액제
블루베리
아사이베리
백수오
복분자
석류
흑마늘
녹용
바질씨
인텍트 포도당 캔디
뽀로로 비타짱
타요 미니카 키즈비타

질병 / 치료 정보


(법적 한계에 대한 고지)
본 정보는 건강정보에 대한 소비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참고자료일 뿐이며 개별 환자의
증상과 질병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의사의 진료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작성일 : 12-11-29 14:30
다운증후군 개요
 글쓴이 : 비타민북
조회 : 4,054  




다운증후군 개요

개요


1. 정의

다운증후군은 상염색체 이상을 가진 질환 중 가장 흔하게 보이는 질환으로, 유병률은 약 750명 중의 1명 정도입니다. 다운증후군은 정상 염색체 외에 21번의 염색체가 여분의 염색체를 1개 더 가지게 되어 생기게 됩니다. 이러한 염색체 이상으로 인해서 특징적인 얼굴과 신체 구조가 나타나게 되며 지능 장애를 가지게 됩니다.

염색체는 사람의 몸에 있는 모든 세포에 기본적으로 속해 있으며 유전 정보를 담고 있는 곳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46개의 염색체가 쌍을 이루어서 23쌍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 중 22쌍의 염색체는 상염색체라고 하며, 1쌍은 성별을 결정하는 성염색체로 여자는 두 개의 X 염색체를 가지며 남자는 한개의 X 염색체와 한개의 Y 염색체를 가집니다.

그런데 다운증후군 환자는 21번 염색체가 하나 더 있어서 총 47개의 염색체를 가지게 됩니다. 이러한 상태를 21번 삼염색체증이라고 합니다. 이런 경우에 21번 염색체에 있는 유전 정보 물질이 3배로 존재하게 되어 다운증후군을 일으키게 되는 것입니다.

다운증후군 환자의 약 95%는 이러한 21번 삼염색체를 가지고 있으며, 전형적인 증상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약 4%에서는 21번 염색체와 다른 염색체가 융합되어 있는 전위형으로 나타나며, 약 1%에서는 일부 세포에서만 삼염색체증이 보이는 모자이크형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전위형에서는 염색체 13번, 14번, 15번, 21번 사이에 융합이 되어 생기는데 돌연변이로 새롭게 나타날 수도 있지만 부모에게서 유전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DNA와 염색체

다운증후군 환자의 염색체

2. 역사

다운증후군은 1866년 John Langdon Down이라는 영국 의사에 의해서 처음 보고되었습니다. 그는 지능 저하를 가진 사람들에 대해서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다운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의 일부 특징들에 대해서는 기술하였지만 원인까지는 정확히 알지 못하였습니다. 이후 1959년에 세포 유전학을 연구하던 Jerome Lejeune가 염색체를 현미경으로 관찰하던 중에 다운증후군 환자에게 21번 염색체가 1개 더 존재하는 것을 발견하여 다운증후군이 생기는 원인을 밝혀내었습니다.

3. 원인

삼염색체증은 수태 전에 정자나 난자의 분열의 이상으로 생기게 됩니다. 이러한 일은 우연히 일어나는데, 왜 그렇게 되는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삼염색체증이 산모의 나이와 관련이 있다고 많이 알려져 있어, 대부분의 사람들이 산모의 나이가 다운증후군의 원인이라고 생각하고 있지만, 이는 잘못 알려진 내용입니다. 오히려 다운증후군 아이를 낳은 산모의 평균 나이는 28세이고, 다운증후군 아이들의 80%는 35세 이하의 산모에게서 태어났습니다. 단지 여자들이 나이가 들면서 삼염색체증을 가진 아이를 임신할 위험성이 더 증가한다는 것입니다.

전반적으로 30세 이하의 여성이 다운증후군 아이를 임신할 확률은 약 1,000 대 1 미만이며, 엄마가 나이가 늘수록 위험성이 증가하여 40세에는 112 대 1이 되지만, 그래도 전체의 1% 미만입니다.

작성 및 감수 : 대한의학회_대한소아과학회







 
 



Total 207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177 대사증후군 임상적 양상 비타민북 11-29 2966
176 대사증후군 : 대사증후군의 진단 비타민북 11-29 3175
175 대사증후군 치료 비타민북 11-29 3144
174 대사증후군 : 대사증후군의 예방 비타민북 11-29 3023
173 대동맥박리 개요 비타민북 11-29 3496
172 대동맥박리 병태생리 비타민북 11-29 3347
171 대동맥박리 증상 비타민북 11-29 3251
170 대동맥박리 진단 비타민북 11-29 3058
169 대동맥박리 치료 비타민북 11-29 3500
168 대동맥박리 환자들이 자주 하는 질문 비타민북 11-29 3268
167 다래끼 다래끼란 비타민북 11-29 4245
166 다래끼 : 다래끼의 종류 비타민북 11-29 3966
165 다래끼 증상 및 치료 비타민북 11-29 4207
164 다래끼 환자들이 자주 하는 질문 비타민북 11-29 3715
163 다운증후군 개요 비타민북 11-29 4055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