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 / 치료 정보


추천 건강식품몰 스폰서 광고

오메가3
유산균/프로바이오틱스
프로폴리스/로얄젤리
비타민
종합비타민
엽산
미네랄/칼슘,아연
홍삼/산삼/인삼
감마리놀렌산/달맞이꽃종자유
글루코사민/MSM
루테인/시력보호
쏘팔메토/톱야자
아마씨유/플랙시드오일
스피루리나
코엔자임큐텐/코큐텐
키토산
밀크시슬
상어연골
징코빌로바/은행잎
다이어트
공진환, 액제
블루베리
아사이베리
백수오
복분자
석류
흑마늘
녹용
바질씨
인텍트 포도당 캔디
뽀로로 비타짱
타요 미니카 키즈비타

질병 / 치료 정보


(법적 한계에 대한 고지)
본 정보는 건강정보에 대한 소비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참고자료일 뿐이며 개별 환자의
증상과 질병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의사의 진료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작성일 : 12-11-29 14:37
대동맥박리 환자들이 자주 하는 질문
 글쓴이 : 비타민북
조회 : 3,268  




대동맥박리 환자들이 자주 하는 질문

환자들이 자주 하는 질문


1. 수술 위험도는 얼마나 되나요?

전통적으로 대동맥 치환 수술에 따른 사망률과 치명적 합병증의 발생 빈도는 다른 어떠한 수술보다도 현격하게 높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는 수술 전 환자의 상태가 다른 질환에 비해 매우 불량할 뿐 아니라 수술 자체가 가지고 있는 이론적인 위험 때문입니다.

상행 대동맥 박리의 수술 사망률은 약 5~20% 정도이고, 하행 흉부대동맥박리는 약 15~20% 정도입니다.

사망원인은 심근경색증, 신부전, 출혈, 패혈증 등이며, 하행 대동맥박리로 내과적 치료를 받은 환자의 사망률도 약 15~20% 정도입니다.

2. 수술을 받지 않고 그대로 두면 어떻게 되는지요?

급성 대동맥박리 환자들의 전체적인 생존율은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특히 상행 대동맥박리가 있는 환자들은 심막강으로의 파열이나 관상동맥의 침범으로 조기에 사망하기 때문입니다.

한 조사에 의하면, 상행 대동맥박리를 가진 환자가 치료받지 않으면 중 단지 8%만이 1개월 이상 생존한다고 알려졌으며, 하행대동맥박리의 경우에는 75% 이상 생존할 수 있다고 알려졌습니다.

3.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없나요?

대동맥박리만 선택적으로 예방하는 방법은 없고, 대다수 환자가 보이는 고혈압을 조절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또한 마르판 증후군 환자는 대동맥박리의 발생 유무 등을 평가하고, 조기 치료를 위해 담당의사와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작성 및 감수 : 대한의학회_대한흉부외과학회







 
 



Total 207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177 대사증후군 임상적 양상 비타민북 11-29 2966
176 대사증후군 : 대사증후군의 진단 비타민북 11-29 3176
175 대사증후군 치료 비타민북 11-29 3144
174 대사증후군 : 대사증후군의 예방 비타민북 11-29 3023
173 대동맥박리 개요 비타민북 11-29 3496
172 대동맥박리 병태생리 비타민북 11-29 3348
171 대동맥박리 증상 비타민북 11-29 3252
170 대동맥박리 진단 비타민북 11-29 3058
169 대동맥박리 치료 비타민북 11-29 3501
168 대동맥박리 환자들이 자주 하는 질문 비타민북 11-29 3269
167 다래끼 다래끼란 비타민북 11-29 4245
166 다래끼 : 다래끼의 종류 비타민북 11-29 3966
165 다래끼 증상 및 치료 비타민북 11-29 4207
164 다래끼 환자들이 자주 하는 질문 비타민북 11-29 3715
163 다운증후군 개요 비타민북 11-29 4055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