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 / 치료 정보


추천 건강식품몰 스폰서 광고

오메가3
유산균/프로바이오틱스
프로폴리스/로얄젤리
비타민
종합비타민
엽산
미네랄/칼슘,아연
홍삼/산삼/인삼
감마리놀렌산/달맞이꽃종자유
글루코사민/MSM
루테인/시력보호
쏘팔메토/톱야자
아마씨유/플랙시드오일
스피루리나
코엔자임큐텐/코큐텐
키토산
밀크시슬
상어연골
징코빌로바/은행잎
다이어트
공진환, 액제
블루베리
아사이베리
백수오
복분자
석류
흑마늘
녹용
바질씨
인텍트 포도당 캔디
뽀로로 비타짱
타요 미니카 키즈비타

질병 / 치료 정보


(법적 한계에 대한 고지)
본 정보는 건강정보에 대한 소비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참고자료일 뿐이며 개별 환자의
증상과 질병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의사의 진료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작성일 : 12-11-29 14:45
대동맥박리 병태생리
 글쓴이 : 비타민북
조회 : 3,347  




대동맥박리 병태생리

병태생리


대동맥박리는 여러 가지 유발 요인이 알려져 있는데, 환자의 70~90%에서 고혈압이 동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고혈압에 의한 대동맥 박리는 상행 대동맥보다 하행 대동맥과 연관됩니다.
이외에도 대동맥 중막에서 변성 변화가 일어나는 상태인 낭성 중층 괴사(cystic medial necrosis), 마르판 증후군(Marfan syndrome), 엘러스-단로스 증후군(Ehlers-Danlos syndrome), 고령, 이첨 대동맥판막(bicuspid aortic valve), 대동맥 축착증(coartation of aorta), 외상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대동맥 박리는 임신 3기에 발생률이 일반인보다 높아지는데, 그 원인은 아직 확실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혈관도자술, 풍선확장술 등으로 인한 의인성 대동맥 손상도 하나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대동맥의 내막 파열은 보통 횡(가로)으로 생기는데, 대부분 대동맥 막에서 수 cm 이내의 상행 대동맥과, 좌측 빗장뼈밑동맥(쇄골하동맥) 직하방의 하행 흉부대동맥에서 주로 발생하게 됩니다.

대동맥의 박리는 이러한 내막 파열로 인해 하방(아래쪽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이 보통이나 상방(윗쪽방향)으로 진행할 수도 있습니다.

보통 대동맥박리는 작은 동맥들보다는 무명동맥 (innominate artery), 경동맥(carotid artery), 빗장뼈밑동맥(쇄골하동맥), 콩팥동맥(rena artery) 등 큰 동맥들에서 생깁니다.

일부 환자는 박리 말단부에서 시작해 가성 내강을 지나 다시 진성 내강으로 들어가는 재진입 내막에 열상(찢어진 상처)이 존재합니다.

가성 내강은 보통 대동맥 전체보다는 1/2 내지 2/3 정도의 둘레에서 형성됩니다. 가성 내강의 외벽은 얇은 중막의 바깥층과 외막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파열 되기 쉽습니다. 파열은 심막강(심장을 둘러싼 심막 안에 있는 빈 곳)과 좌측 흉막강(흉강) (늑막이 둘러싸서 만들어 낸 완전히 막힌 빈 공간)쪽에 잘 생기고, 드물게 복부 쪽에도 생길 수 있습니다. 초기에 파열되지 않은 가성 내강은 시간 경과에 따라 약해진 외벽을 따라 동맥류(arterial aneurysm)를 형성하게 됩니다. 이 때 간혹 자연적으로 가성 내강 내에 혈전이 형성되면서 폐색(닫혀서 막힘)을 일으킬 수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비교적 좋은 자연경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작성 및 감수 : 대한의학회_대한흉부외과학회







 
 



Total 207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177 대사증후군 임상적 양상 비타민북 11-29 2966
176 대사증후군 : 대사증후군의 진단 비타민북 11-29 3176
175 대사증후군 치료 비타민북 11-29 3144
174 대사증후군 : 대사증후군의 예방 비타민북 11-29 3023
173 대동맥박리 개요 비타민북 11-29 3496
172 대동맥박리 병태생리 비타민북 11-29 3348
171 대동맥박리 증상 비타민북 11-29 3251
170 대동맥박리 진단 비타민북 11-29 3058
169 대동맥박리 치료 비타민북 11-29 3500
168 대동맥박리 환자들이 자주 하는 질문 비타민북 11-29 3268
167 다래끼 다래끼란 비타민북 11-29 4245
166 다래끼 : 다래끼의 종류 비타민북 11-29 3966
165 다래끼 증상 및 치료 비타민북 11-29 4207
164 다래끼 환자들이 자주 하는 질문 비타민북 11-29 3715
163 다운증후군 개요 비타민북 11-29 4055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