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 / 치료 정보


추천 건강식품몰 스폰서 광고

오메가3
유산균/프로바이오틱스
프로폴리스/로얄젤리
비타민
종합비타민
엽산
미네랄/칼슘,아연
홍삼/산삼/인삼
감마리놀렌산/달맞이꽃종자유
글루코사민/MSM
루테인/시력보호
쏘팔메토/톱야자
아마씨유/플랙시드오일
스피루리나
코엔자임큐텐/코큐텐
키토산
밀크시슬
상어연골
징코빌로바/은행잎
다이어트
공진환, 액제
블루베리
아사이베리
백수오
복분자
석류
흑마늘
녹용
바질씨
인텍트 포도당 캔디
뽀로로 비타짱
타요 미니카 키즈비타

질병 / 치료 정보


(법적 한계에 대한 고지)
본 정보는 건강정보에 대한 소비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참고자료일 뿐이며 개별 환자의
증상과 질병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의사의 진료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작성일 : 12-11-29 14:46
대동맥박리 개요
 글쓴이 : 비타민북
조회 : 3,495  




대동맥박리 개요

개요


대동맥은 심장에서 시작하여 위로 올라가 왼쪽으로 아치 모양을 이루며 구부러져 아래쪽으로 내려가는 형태로 마치 손잡이가 아치형인 지팡이와 비슷한 모습입니다.

대동맥 중에서도 심장에서 시작하여 횡격막(가슴과 배를 나누는 근육으로 이루어진 막)에 이를 때까지 가슴에 있는 부위를 흉부 대동맥이라 하고, 횡격막을 지나 뱃속에 있는 부분을 복부 대동맥이라 부릅니다. 복부 대동맥 은 아랫배에서 두 개의 장골 동맥으로 갈라지며 끝납니다.

대동맥의 해부학적 구조

복부의 주요 혈관

대동맥은 꽤 튼튼하고 두꺼운 관으로 가장 안쪽의 내막(intima), 주로 근육으로 이루어진 중막(media), 그리고 가장 바깥쪽의 외막(adventitia)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대동맥박리란 어떤 원인에 의해서 국소적으로 대동맥 내막이 찢어지면서 혈액이 대동맥의 진성 내강(true lumen, 원래 피가 흐르던 공간)에서 탈출해 대동맥 중막을 내층과 외층으로 분리시켜 가성 내강(false lumen, 박리로 인해 분리되어 새로이 생긴 공간)을 만드는 질환을 말합니다.

대동맥박리는 박리가 시작된 지 14일 이내의 상태를 급성 대동맥 박리라고 부르고, 14일 이상 경과된 상태를 만성 대동맥박리라고 부릅니다.

50~60대에서 발병률이 가장 높고, 여자보다 남자에게 2배 더 많이 발생합니다.

일반적으로 대동맥박리는 병변의 해부학적 위치와 범위를 기준으로 두 분류법을 이용해 나누게 됩니다.

1. DeBakey 분류법(드베키 분류법)

  • 제1형 : 상행 대동맥뿐만 아니라 대동맥 궁(aortic arch)과 하행 대동맥도 침범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 제2형 : 무명동맥(innominate artery) 직전의 상행 대동맥만 침범된 경우를 말합니다.
  • 제3형 : 하행 대동맥만 침범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2. Stanford 분류법(스텐포드 분류법)

  • A형 : 원위(부)의 침범 여부와 관련 없이 상행 대동맥에 대동맥박리가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DeBakey 분류법의 제1형과 제2형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 B형 : 하행 흉부대동맥 이하만 침범된 경우를 말합니다. DeBakey 분류법의 제3형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대동맥박리의 다양한 형태들

작성 및 감수 : 대한의학회_대한흉부외과학회







 
 



Total 207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177 대사증후군 임상적 양상 비타민북 11-29 2965
176 대사증후군 : 대사증후군의 진단 비타민북 11-29 3175
175 대사증후군 치료 비타민북 11-29 3144
174 대사증후군 : 대사증후군의 예방 비타민북 11-29 3022
173 대동맥박리 개요 비타민북 11-29 3496
172 대동맥박리 병태생리 비타민북 11-29 3347
171 대동맥박리 증상 비타민북 11-29 3251
170 대동맥박리 진단 비타민북 11-29 3057
169 대동맥박리 치료 비타민북 11-29 3500
168 대동맥박리 환자들이 자주 하는 질문 비타민북 11-29 3268
167 다래끼 다래끼란 비타민북 11-29 4245
166 다래끼 : 다래끼의 종류 비타민북 11-29 3966
165 다래끼 증상 및 치료 비타민북 11-29 4207
164 다래끼 환자들이 자주 하는 질문 비타민북 11-29 3715
163 다운증후군 개요 비타민북 11-29 4054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