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 / 치료 정보


추천 건강식품몰 스폰서 광고

오메가3
유산균/프로바이오틱스
프로폴리스/로얄젤리
비타민
종합비타민
엽산
미네랄/칼슘,아연
홍삼/산삼/인삼
감마리놀렌산/달맞이꽃종자유
글루코사민/MSM
루테인/시력보호
쏘팔메토/톱야자
아마씨유/플랙시드오일
스피루리나
코엔자임큐텐/코큐텐
키토산
밀크시슬
상어연골
징코빌로바/은행잎
다이어트
공진환, 액제
블루베리
아사이베리
백수오
복분자
석류
흑마늘
녹용
바질씨
인텍트 포도당 캔디
뽀로로 비타짱
타요 미니카 키즈비타

질병 / 치료 정보


(법적 한계에 대한 고지)
본 정보는 건강정보에 대한 소비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참고자료일 뿐이며 개별 환자의
증상과 질병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의사의 진료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작성일 : 12-11-10 16:52
급성고환염 급성부고환염 : 급성 부고환염의 증상, 진단 및 치료
 글쓴이 : 비타민북
조회 : 4,188  




급성 부고환염의 증상, 진단 및 치료



1. 증상

통증은 음낭 내부에서 발생하고 심한 경우에는 아랫배와 옆구리까지 이어지며 이로 인한 보행 곤란이 발생합니다. 부고환을 만질 때 매우 민감하고 통증을 호소합니다. 통증이 시작되고 불과 3~4시간 이내에 음낭의 크기가 커져 고환과 부고환을 구별할 수 없을 정도가 됩니다.

고열과 함께 음낭내 통증이 있는 큰 덩어리가 생기며 음낭 피부가 붉어지는 등 음낭 고름집으로 진행된 경우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 파열되기도 합니다. 때로는 요도 분비물, 배뇨시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급성 부고환염일 때에 전립선 마사지를 하면 부고환염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한편 결핵으로 인한 부고환염인 경우는 오히려 통증이 전혀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2. 진단

성생활, 재발성 여부, 발생 기간 등에 대한 자세한 문진이 필요하고 신체검사를 통해 고환과 부고환을 진찰하고 혈액검사, 소변검사, 소변배양검사 등을 시행합니다. 필요에 따라 음낭초음파, 상부요로에 대한 영상의학검사를 시행합니다.

진단 초기에 부고환염과 즉각적으로 감별해야할 질환은 부고환염과 비슷한 증상을 나타내는 고환꼬임입니다. 부고환염은 30세 이후에 흔하지만 고환꼬임은 주로 사춘기 이전 청소년과 소아에서 발생합니다. 흔히 고환꼬임의 초기에는 음낭을 두덩뼈 위로 올리면 통증이 더욱 심해지지만, 부고환염의 경우 오히려 통증이 감소하므로 진단에 매우 유용합니다. 그 외에도 색도플러초음파, 방사성동위원소 검사로 두 질환의 감별이 가능합니다.

부고환염과 고환꼬임

위 검사로도 구분이 어려운 경우에는 응급적인 시험절개 수술이 필요합니다. 고환꼬임을 4~6시간 이상 수술 없이 방치하면 고환기능을 잃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한편 고환이 아프지 않으면서 커지는 경우 고환종양을 의심해야 하며, 만약 부고환이 통증이 없이 딱딱하고 울퉁불퉁하게 만져지면 결핵성이나 비특이성 만성 부고환염을 의심해 보아야 합니다. 흔히 급성 부고환염이 6주 이상 지속되면 통상적으로 만성 부고환염으로 분류합니다. 급성 부고환염의 후유증으로 인해 부고환 세관이 막히고 흉터, 경화소견이 동반되며 음낭부위의 불쾌감이 오래 지속되나 대부분 전신 증상은 없습니다. 촉진시 부고환은 약간 비대해져 있고 약간의 압통이 있으며 정관이나 정삭이 비교적 굵게 만져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만성부고환염은 결핵성 부고환염과 구별이 중요하기 때문에 반드시 결핵균 검출을 위한 검사가 필요합니다. 세균 감염에 의한 만성 부고환염은 항생제로 치료합니다. 그러나 흉터 조직내로 항생제의 침투가 쉽지 않아 치료 효과가 떨어집니다. 대증요법이나 장기간 항생제 치료에도 낫지 않는 경우에는 부고환절제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3. 치료

고열과 같은 전신증상이 동반되거나 통증이 심한 경우, 또는 중증 감염 소견이 보이면 입원 후 항생제 주사가 필요합니다. 초기에 3~4일간의 절대 안정이 필요하며 음낭을 들어 올려 통증을 완화시켜주어야 합니다. 진통제와 해열제의 투여가 추가적으로 필요합니다.

부고환염 치료에 이용되는 항생제는 성교전파성인지 비성교전파성인지 구분하여 각각에 맞는 항생제를 사용합니다. 대부분은 약물 치료를 시작한지 약 3일 경과 후에 호전을 보이기 시작합니다. 만약 통상적인 약물치료와 대증요법에 호전을 보이지 않는 경우는 종양, 고름집, 고환 종양, 고환 경색(infarction), 결핵성 부고환염, 진균성 부고환염 등을 의심해 볼 수 있어 재차 면밀한 검사가 필요하며 각 질환에 따라 다른 치료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부고환 및 고환의 부기가 심해 부기를 감소시키기 위해 백막 절개술이 시도될 수 있으며 고름집이 합병된 경우는 배농 수술이 필요합니다. 대부분의 환자에서 적절한 치료를 받은 경우 약 2주 정도 경과 후에 통증은 없어지지만, 부어올랐던 부고환은 약 6주 정도 지난 후에야 정상 크기로 가라앉습니다. 드물게 양측에 발생하는 부고환염인 경우 불임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4. 합병증

부고환의 농양이 진행하면 부고환-고환염을 유발시킬 수 있으나 매우 드물고, 오히려 만성부고환 부고환염으로 발전할 기회가 많습니다. 드물게 양측에 발생하는 부고환염의 경우 불임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5. 예방

성전파성 부고환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성배우자의 성병 여부를 확인하여 배우자와 함께 치료받아야 합니다. 환자와 성배우자 모두 소변검사에서 정상이고 증상이 모두 사라지기 전까지 성관계를 금하는 것이 좋습니다.

작성 및 감수 : 대한의학회_대한비뇨기과학회







 
 



Total 207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117 기관지확장증 : 치료 비타민북 11-28 3987
116 기관지확장증 : 합병증 비타민북 11-28 3281
115 기관지확장증 : 환자들이 자주 하는 질문 비타민북 11-28 3319
114 급성고환염 급성부고환염 : 급성 고환염의 개… 비타민북 11-10 3986
113 급성고환염 급성부고환염 : 급성 고환염의 증… 비타민북 11-10 4286
112 급성고환염 급성부고환염 : 급성 부고환염의 … 비타민북 11-10 4102
111 급성고환염 급성부고환염 : 급성 부고환염의 … 비타민북 11-10 4189
110 급성고환염 급성부고환염 : 환자들이 자주 하… 비타민북 11-10 4554
109 급성신부전(소아) : 개요 비타민북 11-10 3851
108 급성신부전(소아) : 원인 비타민북 11-10 3844
107 급성신부전(소아) : 증상 비타민북 11-10 3914
106 급성신부전(소아) : 진단 비타민북 11-10 3874
105 급성신부전(소아) : 치료 비타민북 11-10 4055
104 급성신부전(소아) : 경과 및 예후 비타민북 11-10 4171
103 급성충수염 : 개요 비타민북 11-10 3771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