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인과 일어나는 과정
과민성 장증후군은 구조적, 생화학적, 또는 감염성 원인을 발견할 수 없으므로 기능적 장애에 의한 질환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1. 위장관 운동의 변화
과민성 장증후군의 정의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질환은 복통과 함께 배변의 변화가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즉 설사나 변비 등의 배변의 변화가 주된 증상인 질환인데 이러한 가정으로 유추해 보면 장 운동의 이상이 중요한 발병 원인임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과민성 장증후군이라는 질병이 알려진 이후 많은 연구가 있었으나 이 질환에만 국한된 특이한 운동 이상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2. 내장 과민성
과민성 장증후군 환자의 대장 내에 가스를 주입하거나, 풍선을 넣어 확장시키면 정상인에서는 반응이 나타나지 않을 정도의 적은 용량에도 심한 통증을 일으킵니다. 이 과민성은 대변이 있는 느낌이나 가스가 찬 것 같은 통증보다는 아프거나 불편감 을 느끼는 것이 특징입니다.
위장관 내에서는 식후, 음식을 골고루 섞는 활동, 위산의 분비 활동, 장의 운동 등이 일어나고, 이를 감각신경이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건강한 사람은 이런 소화과정을 느낄 수 없고, 이중 아주 적은 정보만을 느끼게 됩니다.
예를 들면, 과식 후 포만감으로 식사를 중단 하게 되고, 배변 전 직장 팽만감이 있어 화장실에 가게 되며, 가스 느낌이 있을 경우 방귀로 가스를 배출 할 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 어떤 이유에서든 이러한 일상적인 자극이 과민하고 과장되게 느껴진다면 증상이 생긴 것입니다.
내장 과민성의 원인 및 유발인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심리적 요인
정신적 스트레스는 과민성 장증후군 증상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킵니다. 병원을 찾는 과민성 장증후군 환자들 다수는 만성적인 불안, 우울 등의 심리적 증상을 보입니다.
위장관은 신경과 신경전달 물질에 의해 뇌와 직접적으로 연계해 뇌-장 신경계를 만들고 있습니다. 그래서 뇌의 정신적·심리적 변화는 바로 위장관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정상인에게 스트레스를 유발한 뒤 장을 확장시켜 보면 그 민감도가 증가합니다. 어린 쥐를 부모와 격리한 후 전기적 자극을 주면 장이 민감해지고 수축하며 설사가 생긴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스트레스 및 심리적인 요인이 과민성 장증후군 증상을 유발하고, 악화시키는 정확한 발병 과정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만성적인 심리적 스트레스가 뇌신경계에 장기간 지속적인 변화를 주면 뇌-장 신경계를 통해 과민성 장증후군의 여러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고 추정합니다.

2) 장 염증
세균성 장염을 앓고 난 후 장에는 더 이상 염증소견이 관찰되지 않으나 지속적으로 배변 이상과 복통을 호소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소위 ‘감염 후 과민성 장증후군’이라고 진단하며, 장염 후 약 7-30%의 환자에게 발생합니다. 이 경우 직장의 민감도가 증가하고, 조직검사 상 염증세포의 수가 증가합니다.
3) 비정상적인 장내 상주 세균 및 소장 세균의 과다 증식
과민성 장증후군 환자의 일부는 대장 내 상주 세균의 구성이 비정상적입니다. 이로 인해 장관 내 발효가 증가하고 과다한 가스가 생성돼 과민성 장증후군의 증상을 유발합니다.
또한, 정상적으로는 균의 증식이 미미한 소장에서 세균이 과다 증식하는 경우에도 만성 설사나 복통, 가스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대장세균 이상이나, 소장세균 과다 증식의 경우 항생제 치료를 통해 증상이 해결될 수 있는데, 아직 연구 단계이므로 담당의사와 상의해 치료를 결정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