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정보


추천 건강식품몰 스폰서 광고

오메가3
유산균/프로바이오틱스
프로폴리스/로얄젤리
비타민
종합비타민
엽산
미네랄/칼슘,아연
홍삼/산삼/인삼
감마리놀렌산/달맞이꽃종자유
글루코사민/MSM
루테인/시력보호
쏘팔메토/톱야자
아마씨유/플랙시드오일
스피루리나
코엔자임큐텐/코큐텐
키토산
밀크시슬
상어연골
징코빌로바/은행잎
다이어트
공진환, 액제
블루베리
아사이베리
백수오
복분자
석류
흑마늘
녹용
바질씨
인텍트 포도당 캔디
뽀로로 비타짱
타요 미니카 키즈비타

건강 정보


(법적 한계에 대한 고지)
본 정보는 건강정보에 대한 소비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참고자료일 뿐이며 개별 환자의
증상과 질병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의사의 진료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작성일 : 12-11-05 12:54
밀크시슬 / 밀크티슬 ( Milk Thistle )
 글쓴이 : 비타민북
조회 : 4,307  






밀크시슬 / 밀크티슬 ( Milk Thistle )
 

실리범 마리아넘(silybum marianum)이란 학명으로 알려진 밀크티슬, 또한 그 약리활성성분인 실리마린(silymarin)으로 유명한 이 약용식물은 해바라기과에 속합니다. 초기 이민자들이 유럽서 북미로 가져온 이 약초의 보라색 꽃과 우유빛 색깔을 띄우는 잎을 가진 이 약초는 동부를 따라서 가노라면 눈에 띕니다. 캘리포니아에도 볼 수 있는 이 식물은 미국과 세계도처에서 야생초로 자랍니다.
6월에서 8월에 걸쳐 꽃이 피며 약용목적으로 사용되는 윤택한 검은 씨앗은 늦여름에 수확됩니다.
밀크티슬의 약용적 복용은 수천년을 소급해서 희랍과 로마시대에 이르고 있습니다.
오늘날 연구가들은 이 약초의 효과와 효능, 특히 간질환을 치료할 목적으로 300이상의 과학적 연구를 실행했습니다.

 
엉겅퀴 ( Milk Thistle ) 는 학명이 Silybum marianum이며, 원래 남유럽과 북아프리카가 원산지이나 이후에 아메리카 대륙에도 정착, 현재는 대부분 관상용 또는 약용으로 재배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엉겅퀴라고 불린다. 전설에 의하면 엉겅퀴의 잎에 대리석 모양이 생긴 것은 성모 마리아가 떨어뜨린 젖에 의해서 생겨난 것이라고 하며, 종명인 marianum도 그러한 전설과 관련이 있다. 학명인 silybum은 '장식용 술'이란 의미를 갖는 그리스어 silybon에서 유래한다. 이 명칭은 1세기 경에 살았던 그리스의 근대 서양의학에까지도 많은 영향을 끼친 의사이자 약학자인 Dioskurides가 엉겅퀴를 닮은 식물을 지칭한 데서 생긴 명칭이다. 옛날부터 엉겅퀴는 젖을 먹이는 어머니들이 젖이 잘 나오도록 하기 위해서 엉겅퀴차를 마시게 함으로써 잘 알려진 식물이다. 영어 이름인 Milk Thistle이 그러한 사실을 암시하고 있다. 
Thistle은 "살짝 찌르다"라는 의미를 갖는 고대 게르만어에서 유래한다. 독일의 자연치료사인 라데마커라는 사람이 엉겅퀴가 간과 담낭의 질환 및 황달 등에 뛰어난 약효가 있음을 발견하였고 그 이후로 약초로 더욱 유명해지기 시작했다.
엉겅퀴는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우리나라 산이나 들에 자생한다. 6월에서 8월 사이에 자주색 또는 적색의 둥근 모양의 꽃을 피우고, 10월에 열매가 익는다. 꽃의 크기는 4-5cm이고 줄기의 끝에서 핀다. 씨의 길이는 7mm 정도이고 흰색의 깃털이 나있다. 잎 전체는 길쭉한데 잎줄기를 중심으로 작은 잎이 새 날개 모양으로 6~7쌍 갈라진다. 잎의 양면에는 흰색 털이 무수히 있고, 가장자리에 거친 톱니와 날카로운 가시가 나 있다. 줄기는 곧고 골이 나 있으며, 원뿌리가 땅속 깊이 내려가므로 어지간한 가뭄에도 끄떡 없다. 이런 모습이 엉겅퀴를 억세고 강인하게 보이게 한다. 다 자라면 키가 50~100cm에 이른다. 엉겅퀴의 종류는 큰엉겅퀴,지느러미엉겅퀴,초엉겅퀴,가시엉겅퀴,흰가시엉겅퀴,바늘엉겅퀴 등 전세계적으로 2만종이 있다. 그 중 인가 근처에 자생하는 큰엉겅퀴와 지느러미엉겅퀴가 효능이 뛰어나 민간약재로 주로 쓰인다. 지방에 따라서는 엉겅퀴를 대계?호계?자계?산수방?항강구?항가새?가시나물?마자초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엉겅퀴 추출물 ( Milk Thistle extracts)은 70-80%의 silymarin가 함유되어 있다. 엉겅퀴는 2000년 이상 사용되어온 약재로써 중세에는 간염의 치료 등에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특히 유럽에서는 엉겅퀴를 hepatitis (바이러스성 간염), 알콜에 의한 간의 손상 치료 및 회복, 버섯 중독 등의 치료에 사용하여 왔다.
 
엉겅퀴는 간질환과 산후부종 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민간약이다. 지금은 그 가치를 아는 사람이 드물지만 예전부터 우리 민가에서 황달에 걸려 얼굴이 누렇게 뜬 사람이 생기면, 동네 노인이 산에 나가 엉겅퀴를 채취하여 삶은 물을 먹여 나아주곤 하였다. 또한 간경화로 복수가 차오르거나, 산후부종으로 얼굴과 팔다리가 붓는 사람도 엉겅퀴 삶은 물을 먹고 복수와 부기가 낫곤 하였다. 이런 엉겅퀴를 이용한 민간요법은 서양에서도 전해 내려오고 있는데, 독일의 자연치료사인 라데마커라는 사람은 경험적으로 입증된 엉겅퀴의 효능에 주목하여 "엉겅퀴가 간과 담낭의 질환 및 황달 등에 뛰어난 약효가 있다" 발표한 바 있다. 그 이후로 엉겅퀴는 전 세계적으로 간질환 치료에 효능이 있는 약초로서 더욱 유명해지기 시작했다.
간질환 치료에 효능을 보이는 엉겅퀴의 성분은 씨에서 축출된 실리마린(silymarin)이다. 이 성분은 간세포의 신진대사를 증가시키고 간세포를 독성의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효과가 탁월한데, 지금까지 세계의 제약회사들이 간을 보호하는 많은 약을 만들어 냈지만 실리마린의 효과에 비견할 만한 것은 만들어내지 못했었다. 엉겅퀴의 맛이 쓰고 성질은 서늘하다. 대개 간장경과 심장경에 작용한다. 체내에서의 작용은 양혈지혈(凉血止血)과 어혈소종(瘀血消腫) 작용을 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본초강목>은 "큰엉겅퀴는 어혈을 흩어 버리고, 작은엉겅퀴는 혈통(血痛)을 다스린다"라고 하였다. 또 <동의학사전>엔 "열을 내리고 출혈을 멈추며 어혈을 삭이고 부스럼을 낫게 한다. 약리실험 결과 혈액응고촉진작용, 혈압강하작용, 해열작용 등이 밝혀졌다"라고 소개하였다. 결국 엉겅퀴의 찬 성미가 간장과 심장에 들어가 청열효능을 발휘하여 간열을 내려 간질환을 치료하는 효능을 나타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Total 125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65 프로폴리스의 벌들이 사용 하는 법 비타민북 11-05 3527
64 프로폴리스 ( Propolis ) 채취 비타민북 11-05 3498
63 프로폴리스 ( Propolis ) 역사 비타민북 11-05 3761
62 프로폴리스 ( Propolis ) 생성원리 비타민북 11-05 3912
61 프로폴리스 ( Propolis ) 의 어원 비타민북 11-05 5377
60 프로폴리스 ( Propolis ) 효능 비타민북 11-05 4773
59 프로폴리스 ( Propolis ) 의 주요 효능 비타민북 11-05 3872
58 프로폴리스와 암 비타민북 11-05 3651
57 프로폴리스 ( Propolis ) 의 성분 비타민북 11-05 4794
56 프로폴리스 ( Propolis ) 생산 비타민북 11-05 3408
55 클로렐라 [Chlorella] 비타민북 11-05 7470
54 멜라토닌 ( Melatonin ) 비타민북 11-05 4116
53 밀크시슬 / 밀크티슬 ( Milk Thistle ) 비타민북 11-05 4308
52 밀크시슬 / 밀크티슬 ( Milk Thistle ) 의 용도 비타민북 11-05 3917
51 밀크시슬 / 밀크티슬 ( Milk Thistle ) 의 효능 비타민북 11-05 3967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