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수검사 판독 내용은?
1. 골수 검체의 처리 과정
1) 말초
혈액도말, 골수흡인도말 및 touch print
염색을 하여 푸른색, 붉은색, 보라색으로 염색된 골수
세포를 형태와 색상으로 감별함으로써 골수
세포 각각의 세밀한 특징을 잘 관찰할 수 있습니다.
필요에 따라 특수염색을 실시하기도 합니다.
2) 골수
생검과 골수
조직절편
포르말린에 고정한 다음 파라핀에 봉매하여 얇게 잘라서 유리슬라이드에 부착시킨 다음, H&E염색을 실시하여 판독합니다.
골수
전체의 세포충실도와 구조적 이상을 알아내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필요에 따라 특수염색을 실시하기도 합니다.

2. 말초
혈액소견
골수검사 시 혈액학적 질환 또는 기타 골수
검사를 시행하게 된 원인 질환의 혈액학적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CBC(총혈구측정치), MCV(적혈구 크기), 망상적혈구수를 측정하여야합니다.
말초
혈액도말의 혈구 형태 관찰이 필수적입니다.
3. 골수
흡인도말의 판독
골수
흡인도말표본에서 최소 500개의 핵이 있는 세포들을 고배율(오일을 슬라이드에 떨어뜨린 후 1,000배로 확대)에서 관찰하여 각각을 감별계산하여 백분율로 표시합니다.
골수
는 인체에 있는 철(iron)의 저장 상태를 가장 잘 반영하므로 골수
흡인도말표본으로 철염색(iron stain)을 하여 저장철을 평가합니다.
급성백혈병이 의심되는 경우, 특수염색(special stain, cytochemistry)을 시행하여 백혈병세포의 계열을 판정합니다.

4. 골수
생검과 골수
조직절편의 판독
골수
생검조직을 저배율에서 보면 세포충실도(cellularity)를 평가할 수 있고 거대핵세포의 존재도 알 수 있습니다. 세포충실도는 사람의 나이와 부위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나이가 많아지면 세포충실도가 점차 감소합니다. 반면, 유아기에는 모든 골수
의 충실도가 거의 100%에 가깝습니다. 성인이 되면 대부분의 뼈가 지방으로 채워지고 흉골, 척추, 장골, 늑골
등의 골수
에서만 40~60%의 세포충실도를 보입니다. 골수
생검은 조혈세포의 해부학적 분포에 대한 정보 외에 종양, 림프종, 육아종성 염증 및 경화증과 같은 부분적 골수
침습 과정을 평가하는 데 유용합니다. 골수
생검 또는 응고절편에 여러 특수 염색을 시행하여 관찰되는 각 세포의 모양 및 상태를 판정할 수 있습니다. 골수
섬유화, 골경화증, 육아종과 림프종, 백혈병 및 형질세포질환과 같이 세포충실도가 매우 높은 경우 골수
흡인이 원활히 되지 않아 다른 방법으로 검사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5. 골수
검사 결과보고
골수
검사 결과보고지에는 먼저 말초
혈액 세포들의 수나 모양에서의 이상소견 유무와 종류를 기술하며, 골수
흡인도말과 touch print에서 관찰한 조혈세포의 감별계산(백분율), 증감 유무 및 형태이상 소견과 비조혈 세포의 이상 소견을 기술합니다. 골수
생검과 골수
>조직절편에서 관찰한 세포충실도, 거대핵세포의 증감 유무, 골수
구조상 이상 소견을 기술합니다. 경우에 따라서 전이암의 존재 여부 또는 골수
섬유화 여부를 기술하기도 하고, 또한 골수
>검체로 실시한 특수검사 소견을 기술합니다. 최종적으로 이들과 임상 소견을 종합하여 진단을 기술하고, 마지막에 앞으로 필요한 추가 조치 및 특수검사 등을 추천하기도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