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적 한계에 대한 고지) 본 정보는 건강정보에 대한 소비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참고자료일 뿐이며 개별 환자의 증상과 질병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의사의 진료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작성일 : 12-11-05 14:02
간기능검사 : 검사결과가 비정상일 때
글쓴이 :
비타민북
조회 : 3,564
검사결과가 비정상일 때
간 기능 검사 결과를 해석함에 있어서 간담도 질환을 광범위한 몇 가지 범주로
나누어 해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앞에서 기술하였듯이 간기능 검사상 유사한 범주의 질환들은 그 결과 패턴이 매우 비슷합니다.
그것만으로 원인 질환들을 감별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한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간기능 검사 결과를 가지고 큰 범주의 질환군으로 구분합니다.
그 후 간염 바이러스에 대한 혈청학적 검사, 초음파 검사, 전산화단층촬영술 등의 영상 진단법을 시행합니다.
그리고 나아가 간조직생검술 같은 검사들을 단계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각각의
간질환의 효율적인 진단 및 치료의 접근법으로써 바람직합니다.
검사 결과의 패턴에 따라 다음의 검사들 중에서 선택적으로 시행하게 됩니다.
바이러스에 대한 혈청학적 검사
초음파 검사
헌혈 등의 병력과 가족력
음주력
약물 복용 여부
전산화단층촬영술(CT) 검사
조직검사
< 참고 문헌 >
McPherson RA, Pincus MR, eds. Henry’s clinical diagnosis and management by
laboratory methods. 21th ed. Philadelphia: WB Saunders, 2007:263-76.
Burtis CA, Ashwood ER, eds. Tietz fundamentals of clinical chemistry. 6th
ed. Philadelphia: WB Saunders, 2008:675-695.
Johan Fevery. Bilirubin in clinical practice: a review. Liver international
2008;28:592-602
M Senzolo, P Burra, E Cholongitas, AK Burroughs. New insights into the coagulopathy
of liver disease and liver transplantation. World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06;12(48):7725-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