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 / 처치 정보


추천 건강식품몰 스폰서 광고

오메가3
유산균/프로바이오틱스
프로폴리스/로얄젤리
비타민
종합비타민
엽산
미네랄/칼슘,아연
홍삼/산삼/인삼
감마리놀렌산/달맞이꽃종자유
글루코사민/MSM
루테인/시력보호
쏘팔메토/톱야자
아마씨유/플랙시드오일
스피루리나
코엔자임큐텐/코큐텐
키토산
밀크시슬
상어연골
징코빌로바/은행잎
다이어트
공진환, 액제
블루베리
아사이베리
백수오
복분자
석류
흑마늘
녹용
바질씨
인텍트 포도당 캔디
뽀로로 비타짱
타요 미니카 키즈비타

검사 / 처치 정보


(법적 한계에 대한 고지)
본 정보는 건강정보에 대한 소비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참고자료일 뿐이며 개별 환자의
증상과 질병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의사의 진료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작성일 : 12-11-10 16:48
기관절개술 : 수술에 관하여
 글쓴이 : 비타민북
조회 : 5,191  




수술에 관하여



기관절개술 수술과정

1. 개요

  • 이 수술은 목 앞부분에서 기관으로 통하는 작은 구멍을 만드는 것입니다. 이 구멍을 개구부라고 부릅니다.
  • 작은 관이 개구부로 들어갑니다.
  • 기관절개튜브의 한쪽 끝은 목의 바깥 부위에 남게 되고 다른 쪽은 기관의 내부에 남게 됩니다.
  • 숨을 들이쉴 때 공기는 기관튜브를 통하여 기관과 폐로 들어가게 됩니다.
  • 기관 절개는 대상자에 따라 일시적이거나 영구적일 수 있습니다. 담당 주치의와 외과 주치의가 수술 받을 환자와 함께 기관 절개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해야 합니다.

2. 소아의 기관절개술

  • 소아의 기관절개술은 성인의 것과 비슷하나 성인에 비하여 작은 해부학적 구조, 짧은 목, 불안정한 기관과 인접한 주요 구조물들로 인하여 더욱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 성인에서도 그렇지만 소아에서는 더욱 응급 기관절개술은 피하는 것이 좋으며, 불가피한 응급상황이 아닌 경우 기관내삽관이나 환기형 기관지경을 삽입하여 우선 기도를 확보한 후 전신마취 상태 하에 수술실에서 시행합니다.
  • 피부의 절개는 성인의 경우는 수평절개가 선호되는 편이며, 소아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수직절개가 선호됩니다. 소아에서 피부의 수직절개를 시행하는 것은, 작은 소아에서 상대적으로 넓은 시야확보가 가능하여 수술 후 기관튜브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고 기관튜브의 무게에 의하여 절개부위의 피부가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소아의 경우 수술 후 성인에 비하여 뜻하지 않게 기관튜브가 빠지는 경우가 잦으므로 기관절개를 시행하기 전에 기관절개부위 양측을 봉합(縫合)하여 만일의 경우에 대비하게 됩니다.

3. 기관절개술의 합병증

수술 직후에는 모든 수술이 조금씩의 합병증을 동반하듯이 기관절개술도 다음과 같은 위험성이 있습니다.

  • 수술 부위 출혈 및 감염: 수술 직후 수술 부위에서 출혈이 생길 수 있으나 간단한 패킹(packing)을 통하여 대부분 지혈이 가능하며 대량 출혈은 극히 드뭅니다. 또한 상처 부위 감염은 흔치 않지만 발생 시에도 대부분 국소적인 처치로 치료가 가능합니다.
  • 피부밑공기증 : 피부를 절개하여 튜브를 삽입하기 때문에 수술 후 피하층에서 공기가 만져질 수 있으나 대부분 수 일 내에 저절로 없어집니다.
  • 기관절개술 후 튜브가 점액이나 피딱지에 의하여 막히거나 빠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술 후에는 지속적인 흡인을 하여 가래 등은 빼 주어야 하며, 특히 수술 후 수 일 이내에 튜브가 빠지게 되면 재 삽관(揷管)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수술 직후에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위에 기술한 합병증 외에도, 기관내삽관은 유연성이 매우 큰 기도를 경직된 튜브로 대치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합병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 두경부나 튜브의 움직임에 기인한 마찰로 점막표면이 미란되기도 합니다.
  • 기관절개튜브 중에는 끝 부위에 풍선 같은 것이 달린 튜브가 있는데 이 풍성 같은 것을 커프(cuff)라고 부릅니다. 이것은 인공호흡기 사용 시에 공기가 외부로 새지 않도록 도와주고 튜브위에 쌓인 음식물이나 분비물이 흡인 되는 것을 막아주지만, 압력이 과하게 되면 주변 점막에 허혈이나 괴사가 생기게 되고, 그 부위에는 육아종, 형태변화 및 협착이 초래될 수 있습니다.
  • 기관튜브 제거 후 천명(음)(喘鳴)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는데 대부분 후두부종에 기인하며 심하면 재삽관이 필요합니다.

수술 후 관리를 적절하게 하고 가능한 조기에 발견을 하여야 여러 합병증의 빈도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수술 전에 기관절개술에 대한 수술 설명 및 수술 후 처치 방법에 관하여 듣는 것이 필요합니다.

기관절개의 합병증

작성 및 감수 : 대한의학회_대한이비인후과학회







 
 



Total 39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39 대장내시경검사 개요 비타민북 11-29 7893
38 대장내시경검사 검사 절차 및 검사전 식사관… 비타민북 11-29 8416
37 대장내시경검사 검사 전 준비사항 비타민북 11-29 8797
36 대장내시경검사 검사 소견 비타민북 11-29 7666
35 대장내시경검사 환자들이 자주하는 질문 (3) 비타민북 11-29 7617
34 내시경 역행 췌담관 조영술 검사의 개요 비타민북 11-29 8769
33 내시경 역행 췌담관 조영술 환자들이 자주 … 비타민북 11-29 5648
32 기관지 내시경 검사 개요 비타민북 11-29 5715
31 기관지 내시경 검사 검사 전후 준비사항 및 … 비타민북 11-29 7033
30 기관지 내시경 검사 주요 소견에 대한 정보 비타민북 11-29 5278
29 기관절개술 : 개요 비타민북 11-10 5224
28 기관절개술 : 수술에 관하여 비타민북 11-10 5192
27 기관절개술 : 기관절개술 후 관리 비타민북 11-10 5449
26 기관절개술 : 기관절개튜브 제거 비타민북 11-10 5461
25 근전도 신경전도검사 : 개요 비타민북 11-09 5277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