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 / 치료 정보


추천 건강식품몰 스폰서 광고

오메가3
유산균/프로바이오틱스
프로폴리스/로얄젤리
비타민
종합비타민
엽산
미네랄/칼슘,아연
홍삼/산삼/인삼
감마리놀렌산/달맞이꽃종자유
글루코사민/MSM
루테인/시력보호
쏘팔메토/톱야자
아마씨유/플랙시드오일
스피루리나
코엔자임큐텐/코큐텐
키토산
밀크시슬
상어연골
징코빌로바/은행잎
다이어트
공진환, 액제
블루베리
아사이베리
백수오
복분자
석류
흑마늘
녹용
바질씨
인텍트 포도당 캔디
뽀로로 비타짱
타요 미니카 키즈비타

질병 / 치료 정보


(법적 한계에 대한 고지)
본 정보는 건강정보에 대한 소비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참고자료일 뿐이며 개별 환자의
증상과 질병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의사의 진료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작성일 : 12-11-29 15:27
만성기관지염 임상 소견 및 진단
 글쓴이 : 비타민북
조회 : 8,385  




만성기관지염 임상 소견 및 진단

임상 소견 및 진단


만성기관지염은 임상소견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질병의 초기에는 증상이 없을 수 있습니다. 만성기관지염은 기침과 가래가 주 증상으로 초기에는 겨울철에 심하나 병의 진행에 따라 연중 계속될 수 있습니다.

초기 증상은 만성적인 기침이며 처음에는 간헐적으로 발생하나 때로는 매일 점점 지속적으로 변하여 심하면 잠자는 중에도 기침이 계속됩니다.

객담(가래)은 끈끈하며 양이 적고 아침에 기침과 함께 배출됩니다. 하지만 객담도 시간이 갈수록 진행하여 악화될 수 있습니다.

호흡기 감염이 빈번히 재발할 수 있고 호흡곤란은 병원을 찾게 되는 중요 증상이며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하고 일단 발병하면 점점 진행하게 됩니다.

호흡곤란은 일정 수준으로 폐기능이 떨어지지 않으면 잘 나타나지 않게 되는데 호흡곤란이 있다는 것은 병의 경과가 꽤 오래 되었다고도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초기에도 경우에 따라서는 폐기능에 비해 호흡곤란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미 만성기관지염으로 진단을 받은 환자들 중에서는 가끔씩 급작스럽게 증상이 악화되기도 하는데 평소에 있던 기침, 가래, 호흡곤란 등이 더 자주 또는 심하게 악화됩니다.
가래는 평소에 점액질처럼 나오던 것이 진한 노란색이나 연두색으로 나오고 어떤 때는 피가 섞여 나오기도 합니다. 이런 악화는 주로 상기도 감염이 많은 겨울철에 많이 발생하는데 만성 기관지염이 심할수록 빠글게 악화됩니다.

악화의 원인은 주로 기관지의 박테리아 감염에 의한 것이며, 만성 기관지염 환자들이 병원에 입원하게 되는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그리고 중요한 사망원인이 됩니다.

병이 진행하면 심한 체중감소 및 근육질 감소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1. 진찰 소견

경도 또는 중등도 만성 기관지염 환자의 이학적 소견은 대개 정상 소견을 보입니다.

호흡횟수는 정상 또는 약간 증가되고 심한 경우 호흡수가 증가되고 (보통 분당 20회 이상으로 증가) 저산소증이나 고이산화탄소혈증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흉곽의 모양도 변할 수 있는데, 흉곽 앞뒤가 불룩해지는 ‘술통형 흉곽’ 이 관찰될
수 있습니다.

초기에는 체중과다가 있을 수 있고 점차적으로 진행하면 체중감소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호흡음은 청진상 감소되고 심음도 잘 들리지 않게 됩니다. 때로는 내쉴 때 거품소리나 천명음(숨을 내쉴 때 쌕쌕거리는 호흡음)이 들릴 수도 있습니다.

저산소증이 심할 경우 입술이나 손톱아래쪽부분이 파랗게 보이는 청색증이 나타납니다. 입술 오므린 호흡으로 내쉬는 시간이 길어집니다.

병의 경과가 매우 진행된 경우 숨을 들이쉴 때 늑골 사이가 함몰될 수 있고, 목주변의 보조호흡근의 사용이 관찰됩니다. 폐동맥압이 증가하면서 심장에 무리가 올 수 있는데 전신 부종 특히 하지 부종이나 안면 부종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진단은 정확한 병력과 이학적 검사로 진단이 가능하지만 검사를 시행하여 병을 확인하고 경중을 결정하여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2. 검사종류

1) 폐기능검사 / 기관지확장제 투여 후 폐활량 검사

단순 만성기관지염인 경우는 통상적인 폐기능 검사를 시행하면 보통 정상소견을 보입니다.

폐쇄성기관지염의 경우는 기도폐쇄 소견이 관찰되는데 이 뿐만 아니라 호흡곤란이
있거나 호흡곤란이 없더라도 흡연, 기침, 객담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선별검사로 폐기능 검사를 시행하기도 합니다.
폐기능 검사는 진단 시, 치료도중, 치료 후에 치료효과를 평가하고 예후를 예측하는데 객관적인 지표로 사용되므로 중요한 검사입니다.

검사 항목은 노력성 폐활량 (forced vital capacity, FVC), 1초간 강제호기량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1) 및 1초간 강제호기량의 노력성 폐활량에 대한 비 (FEV1/FVC)가 이용됩니다.

때로는 단순 만성기관지염 악화로 인해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FEV1의 경한 감소를 보입니다. 이 단계에서 병이 더욱 진행되면 결국 폐기능 검사상 비가역적인 FEV1의 감소를 보입니다.

때로는 기관지확장제를 흡입한 다음 흡입 전후의 FEV1의 변화를 보기도 하는데 이는 기관지의 가역성을 살펴보기 위해 시행됩니다.

만성 기관지염의 증상

2) 흉부 X선 촬영

흉부 X선 검사는 진단에 직접 도움이 되진 않지만 다른 질환과의 감별에 유용하며 질환이 진행되면 기관지-혈관음영의 증가가 보입니다.

만성기관지염의 경우 전형적인 임상증상을 보이더라도 흉부사진 소견은 거의 정상입니다.
그러나 흉부사진 상 폐음영의 증가로 흔히 '지저분한 폐' 의 소견을 보이거나, 기관지벽이 두터워지고 철로길 모양 등이 나타나면 만성기관지염을 진단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3) 객담검사

4) 혈액검사

5) 심전도검사

6) 기타 도움을 줄 수 있는 검사들

  • 폐확장능검사
  • 알레르기 피부반응검사
  • 혈중 IgE검사
  • 흉부전산화단층촬영 (진단을 위하여 꼭 필요한 것은 아니며 다른 질환과 감별에 유용합니다)
  • 동맥혈가스검사 (경증에는 필요 없으나 중등도 이상에서 필요하며 특히 폐혈관 고혈압, 폐성심 환자에서는 저산소증의 유무를 확인하여야 합니다)

작성 및 감수 : 대한의학회_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Total 207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207 만성기관지염 개요 비타민북 11-29 7945
206 만성기관지염 원인 비타민북 11-29 7605
205 만성기관지염 기능 및 구조적 변화 비타민북 11-29 7898
204 만성기관지염 임상 소견 및 진단 비타민북 11-29 8386
203 만성기관지염 치료 비타민북 11-29 8262
202 만성기관지염 예방 비타민북 11-29 7659
201 만성기관지염 경과 및 예후 비타민북 11-29 6042
200 만성기관지염 환자들이 자주 하는 질문 비타민북 11-29 5575
199 동맥관 개존증 개요 비타민북 11-29 5771
198 동맥관 개존증 증상 비타민북 11-29 5605
197 동맥관 개존증 진단 비타민북 11-29 5722
196 동맥관 개존증 치료 비타민북 11-29 5815
195 동맥관 개존증 환자들이 자주 하는 질문 비타민북 11-29 5645
194 동상 개요 및 병태생리 (3) 비타민북 11-29 6842
193 동상 증상 비타민북 11-29 5647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