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 / 치료 정보


추천 건강식품몰 스폰서 광고

오메가3
유산균/프로바이오틱스
프로폴리스/로얄젤리
비타민
종합비타민
엽산
미네랄/칼슘,아연
홍삼/산삼/인삼
감마리놀렌산/달맞이꽃종자유
글루코사민/MSM
루테인/시력보호
쏘팔메토/톱야자
아마씨유/플랙시드오일
스피루리나
코엔자임큐텐/코큐텐
키토산
밀크시슬
상어연골
징코빌로바/은행잎
다이어트
공진환, 액제
블루베리
아사이베리
백수오
복분자
석류
흑마늘
녹용
바질씨
인텍트 포도당 캔디
뽀로로 비타짱
타요 미니카 키즈비타

질병 / 치료 정보


(법적 한계에 대한 고지)
본 정보는 건강정보에 대한 소비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참고자료일 뿐이며 개별 환자의
증상과 질병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의사의 진료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작성일 : 12-11-29 15:29
만성기관지염 원인
 글쓴이 : 비타민북
조회 : 7,604  




만성기관지염 원인

원인


만성기관지염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흡연, 반복되는 기도 감염, 대기공해, 유전적 요인과 직업적으로 먼지나 자극성 가스에 노출되는 직업성 요인 등이 비교적 중요한 원인입니다.

만성기관지염의 원인

이 원인들에 의해 기도 내 만성 염증이 생기고 기도 점막 내 점액선 및 점액분비세포의 숫자화 크기가 증가합니다.

1. 담배

흡연은 만성폐쇄성폐질환의 가장 중요한 원인입니다. 비흡연자에 비해 흡연자에게 호흡기 증상의 발생과 폐기능 이상 소견을 더 자주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는 흡연량에 따라 직접적으로 비례합니다. 대다수 환자들이 흡연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는 적어도 20 갑년(1갑년: 하루 1값씩 1년을 피웠을 경우)의 흡연력을 가지고 있고 대다수 환자들이 40 갑년정도의 흡연력이 있습니다.

2. 호흡기 감염

유년기의 호흡기 감염은 성인이 된 후 폐기능 감소와 호흡기 증상의 증가와 관련있지만 이것 하나만으로 만성기관지염 발생의 위험인자로 생각하기에는 아직 논란이 많습니다.

3. 직업적 노출

충분히 강하고 지속적인 노출이라면, 직업성 분진(예, 석탄분진)과 화학약품 (증기,
자극물질, 연기)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4. 실내 및 대기오염

대기오염의 어떤 특정 요소가 해로운지에 대해서는 아직 불명확하지만, 대기오염내의 분진이 폐의 총 흡입 축적을 추가할 것이라는 증거들은 있습니다.

또한 환기가 되지 않는 주거지에서 조리나 난방으로 사용되는 유기물에너지의 연소로 인해 발생하는 실내공기 오염도 또한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5. 성별

예전에는 남성의 흡연율과 직업적인 노출이 여성보다 많아 상대적으로 남성에게 만성폐쇄성폐질환이 많이 발생한다고 생각했으나, 요즘에는 여성의 흡연율과 사회적 진출이 높아져서 여성에 대한 비율도 높아져 가고 있는 추세입니다.

6. 기타 가능성 있는 요인

그 밖에도 확실하지는 않지만 호흡기 감염, 아토피, 소아기 호흡기 감염, 기관지 과민성, 마른체격, 낮은 사회경제적 환경, 알콜, 식이 및 영양 (비타민 C식이부족), 면역력 저하, 호르몬, 가족력, 유전적 소인, 기후 등과의 연관성도 가능성이 있습니다.

작성 및 감수 : 대한의학회_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Total 207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207 만성기관지염 개요 비타민북 11-29 7945
206 만성기관지염 원인 비타민북 11-29 7605
205 만성기관지염 기능 및 구조적 변화 비타민북 11-29 7898
204 만성기관지염 임상 소견 및 진단 비타민북 11-29 8385
203 만성기관지염 치료 비타민북 11-29 8262
202 만성기관지염 예방 비타민북 11-29 7659
201 만성기관지염 경과 및 예후 비타민북 11-29 6042
200 만성기관지염 환자들이 자주 하는 질문 비타민북 11-29 5575
199 동맥관 개존증 개요 비타민북 11-29 5770
198 동맥관 개존증 증상 비타민북 11-29 5605
197 동맥관 개존증 진단 비타민북 11-29 5721
196 동맥관 개존증 치료 비타민북 11-29 5815
195 동맥관 개존증 환자들이 자주 하는 질문 비타민북 11-29 5645
194 동상 개요 및 병태생리 (3) 비타민북 11-29 6842
193 동상 증상 비타민북 11-29 5647
 1  2  3  4  5  6  7  8  9  10